728x90
반응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5rhF4/btqF3G1OV0U/jMSy7pBi7tDF5ZrOajJYD0/img.jpg)
Apache DB project에 의해 시작된 JDO는 POJO를 활용하여 Persistence 영역을 다루는 표준이다.
Java Community Process는 JSR(Java Specfication Request)의 기준을 잡음으로 JDO를 개발해 나가는 중이다.
현재 JDO3.0은 JSR-243에 의해 정의되었다.
JDO는 2가지 방식, 즉 첫째로 데이터를 다루는 것과 둘째로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것이다.
(파악하기로.. 첫번째는 POJO를 사용하여 DDL을 사용하는 것이며,
두번째는 JDO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DML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)
JDO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.
* PersistenceManager : Persistence 객체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컴포넌트.
* Query : DB에 질의(querying)하며, 반환된 결과값(객체와 값)을 처리하는 컴포넌트.
* Transaction : 트랜잭션의 초기화등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컴포넌트
728x90
반응형
'STUDY > 프로그래밍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QL_계층형 쿼리_START WITH .... CONNECT BY (0) | 2020.07.31 |
---|---|
개발완료시 필수 확인 사항 (단위테스트케이스) (0) | 2020.07.27 |
JPA (0) | 2020.07.27 |
자바스크립트 (JavaScript) 느낌표 두개 (Double Exclamation Marks) 연산자 (Operator) (0) | 2020.07.27 |
람다식이란? (0) | 2020.07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