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
openMP 는 병렬처리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
API로써 C/C++ 및 포트란을 비롯한 많은 언어와 UNIX, Windows 와 같은 플랫폼에서 지원됩니다.

openMP는 공유 메모리 아키텍처 환경에서 사용하며, 각 스레드 들이 전역메모리 공간을 공유하는 구조임.
멀티코어 환경, 코어들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 및 공유.
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지시어로 사용가능.
윈도우즈/리눅스/C/Fortran 지원

지시어는 프로세서에게 데이터를 어떻게 분배하고 프로세서들끼리 어떻게 작동할지를 알려줌.
순차코드에서 지시어는 주석으로 인식됨.(#pragma)



멀티스레드 기반의 공유 메모리 병렬 프로그램을 위한 표준 API.
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님.
구성: 컴파일러 지시어, 런타임 라이브러리(함수)
환경변수
-컴파일 지시어:omp parallel
-런타임 라이브러리:omp_set_num_threads(n)
-환경변수:OMP_NUM_THREADS=n



728x90
반응형

'STUDY > 프로그래밍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칼라(SCALA) 란?  (0) 2020.08.18
AXI 란?  (0) 2020.08.18
뷰.js (Vue.js) 란??  (0) 2020.08.18
앵귤러(ANGULAR ) 란?  (0) 2020.08.18
리액트(React 라이브러리)란 ?  (0) 2020.08.18
728x90
반응형


== 개요 ==
[[JavaScript|자바스크립트]]로 개발된 컴포넌트 구조 기반 [[프론트엔드]] 프레임워크. 보통 '''뷰''' 라고 부른다. (view) 최신 버전은 2.6.11이며, 2020년 공개를 목표로 3.0 버전이 개발 중이다.[* 사실 원래는 2019년 내로 공개할 예정이었는데, 개발이 지연되더니 어느 순간 로드맵이 변경되었다.]


=== Vue Router ===
Vue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흔히 SPA(Single Page Application, 한 화면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)로 구성되는데, 이때 한 페이지 내에서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필요 없이 마치 여러 개의 페이지가 있는 듯한 방식으로 작동하게 해 주는 것이 바로 Vue Router이다. 이는 보통 사이트의 큰 틀 안에 {{{<router-view>}}} 태그를 삽입하고, 라우터가 보여 줄 컴포넌트를 이 태그 안에 렌더링한다. 라우터가 보여 줄 컴포넌트는 {{{<router-link>}}}의 클릭이나 JS 함수 호출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.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면 블로그를 만들 때 {{{MainPage}}} 컴포넌트와 {{{Profile}}} 컴포넌트, {{{Posts}}} 컴포넌트를 만든 후, 각각 컴포넌트로의 링크를 담은 {{{<router-link>}}}를 내비게이션 바에 넣어 놓고, 그 아래에 {{{<router-view>}}}를 놓으면 내비게이션 바에서 링크를 누르는 대로 보여지는 컴포넌트가 바뀌면서 마치 일반적인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블로그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. 하지만 실제로는 페이지를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로딩 시간도 훨씬 적고,[* 이러면 초기 로딩이 오래 걸리는 것 아니냐고 할 수도 있는데, Vue Router는 Lazy Load를 지원해서 최초 로딩 시에 로딩하지 않고 컴포넌트가 필요하게 된 시점에 해당 컴포넌트를 로딩해오는 것이 가능하다] 화면이 사라졌다 다시 나타나는 지저분한 효과 없이 즉시 화면이 전환된다. 원한다면 애니메이션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!


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== 개요 ==
> 하나의 프레임워크로 웹과 모바일을 동시에

AngularJS는 구글에서 운용, 유지 중인 [[JavaScript]] [[웹 프레임워크]]이다. [[React(라이브러리)|React]], [[Vue.js]]와 함께 [[프론트엔드]] 삼대장으로 불린다. React나 Vue.js가 일반적으로 프레임워크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에 가까운 구성인데 반해, Angular의 경우 프론트 개발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다 갖추고 있는 프레임워크라고 할만하다. 이 점은 장점이면서 단점이기도 한데, 셋 중 가장 러닝 커브가 가파르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. 이 때문인지 인기도 다른 둘에 비해 다소 낮은 편.

버전 1~2 동안 [[jQuery]] 급으로 빠른 속도로 쓰이기 시작했다. 현재는 버전 7까지 등장하였으며 [[Node.js]] 등의 [[npm]] 설치를 지원한다. 버전 1.x를 AngularJS, 버전 2 이상부터 Angular로 지칭한다.[* 그래서 Angular 2라고 부르기도 한다.] Angular는 AngularJS와 달리 [[TypeScript]] 기반이다. React나 Vue.js에서도 TypeScript를 쓸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옵션인 데 반해, Angular는 일단 TypeScript로 쓸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 차이점.

Angular로 만들어진 앱은 MVVM(Model-View-ViewModel)패턴을 채택한다. 전통적인 MVC 구조에서 컨트롤러가 뷰 모델로 대체된 구조. 컨트롤러와 달리 각 뷰와 뷰 모델이 보다 밀접한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.
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